요구사항 정의서 (명세서) / GAP 분석서
요구사항 분석 시 IT 용어는 배제하고 고객의 언어로 사용
요구사항 명세서에도, 내가 이해한 언어보다는 고객의 표현 용어로
GAP 분석이란?
기본적으로 요구사항 분석과 같은 개념인데 보통의 경우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기에 기능정의 부터 하지만
솔루션 회사 (구매관리) 일 경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구매관리 기능과 고객이 요구하는 기능의 차이(GAP)만 분석
IA (Information Architecture)
결론은 메뉴 구조를 나타나게 됨
단, 메뉴간 상관관계까지 표시한 문서라 보면 됨
PM이 WBS 기반의 개발 경과를 관리한다면 기획자는 IA로 일정 및 진행 경과까지 관리하는 경우가 많음
(실제 현장에서 별도의 PM이 없이 기획자가 PM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WBS보다 IA만 활용하기도 함)
프로세스 흐름도
고객이 말로 설명한 것을 도식화해서 고객과 오해 없는 업무 흐름을 확인하는 것이 1차 목표, 2차는 개박측에서 개발할 때 참조용
프로세스 흐름도는 (Flow chart, 업무 흐름도, 화면 흐름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개발하는 회사마다 다양한 양식을 사용
SB (Story Board)
모든 기획자는 화면 설계를 깔끔하게 하기위해 노력해야함
특별한 기획자는 UI/UX 까지 고려해서 화면설계 진행
웹에이전시 등 웹기반 간단 프로젝트에서 SB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
B2B 시스템 개발시에는 (화면설계서, 화면정의서 등) 딱딱한 용어를 많이 사용, 이쪽에는 실제 개발 정보도 많이 표현
IT 용어 (개발) (0) | 2024.02.22 |
---|---|
IT용어 (디자인) (0) | 2024.02.22 |
IT 용어 (보고) (0) | 2024.02.22 |
IT 용어 (계획) (0) | 2024.02.21 |
IT 용어 (고객2) (1) | 2024.02.21 |